개발 335

도커와 쿠버네티스

핫한 도커와 쿠버네티스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술적으로 깊게 설명된 글은 많으니 개념만 알고 가 봅시다.) 도커란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이 말만 들으면 무슨 소리인가 할텐데 "컨테이너"라는 것을 주목해봅니다. 컨테이너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애가 생각이 나는데 쉽게 설명하면 저 컨테이너안에 개발환경을 때려박아서, 새로운 환경에서 세팅을 할 때 저 컨테이너 하나만 그대로 가져와주면 복잡하고 귀찮은 세팅을 할 필요없이 한큐에 가는겁니다. (다들 개발환경 세팅하다가 하루 이틀 통째로 날려본 경험이 있으시다면, 이게 얼마나 짱인지 알 수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쿠버네티스라는 것도 나오는데 얘는 도대체 뭘까요 컨테이너 기반의 관리 개발 환경이라고 하는데, 뭐 도커가 있는데 이건 ..

개발/잡다개발 2019.11.09

루팅 프로세스, 어플 탐지

현재 루팅이 되어있는지 여부는, 루팅 관련 프로세스 존재 여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untime.getRuntime().exex("ps")로 루팅 관련 프로세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는 현재 작동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보는 명령어입니다.) 또한, 루팅 관련 어플 kongo root, framaroot, one click root 등을 찾아서 탐지할 수도 있는데 아래와 같은 코드로 찾을 수 있습니다.

rooting su

자 일단 "su" 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sudo는 root가 아닌 사용자가 root권한으로 무엇인가를 실행시키는 것입니다. sudo는 리눅스를 다뤄보셨다면 많이 보셨을텐데 그렇다면 su는 무엇일까요? su는 현재 계정에서 root계정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루팅으로 인해 su가 실행이 되었는데, 이 부분을 탐지해보겠습니다. 루팅을 하면 su라는 파일이 생기는데 이 부분을 탐지하는 방법은 /system/bin/su /system/xbin/su /system/su 와 같은 다양한 경로에 su 라는 파일이 있나 조회해봅니다. 여기 있는 경로 말고도, 의심이 되는 경로들을 일일이 체크하면서 su라는 파일을 찾으면 루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루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루팅환경 만들기

데스크탑에서 루팅 환경을 구현해보겠습니다. 루팅 관련 세팅을 하려고 하는데, 그 때 마다 핸드폰을 루팅하는 것은 귀찮고 피곤한 일입니다. 그러면 nox라는 것을 사용하는데 https://kr.bignox.com/ 녹스 앱플레이어 모바일 게임을 키보드와 마우스로? 클릭 한 번으로 가상키보드 실행이 가능하며 PC버전의 게임도 간편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와 마우스로 컨트롤하여 뛰는 자에서 나는 자가 되어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 kr.bignox.com 얘를 데스크탑에서 설치한 후에 오른쪽 톱니바퀴를 누르면 팝업이 띄는데 2번째의 ROOT 부분을 끄기 켜기로 rooting 상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루팅 관련 코딩도 해보겠습니다.

CSRF

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공격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공격 같은 경우에는 공격을 받는 사람이 해커가 시키는 대로 행동하게 만드는 공격인데요 예를 들면, 페이스북에서 내가 아무 것도 하지 않았는데, 친구추가를 누르게 되는 것입니다. 아래를 보면. facebook으로 돈 10만원준다는 글을 쓰도록 post를 던집니다. 이런 형태의 공격인데 어떤 방식으로 방어를 해야할까요? 1. Referrer 검증 기본적인 방식인데, 얘의 request가 facebook.com에서 온 것인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2 Security Token 사용 사용자 세션에 토큰을 발급하고 되는 폼에서 토큰이 일치하는지 확인해주는 방법입니다. -- 참고 https://itstory.tk/entry/CS..

XSS

XSS(Cross Site Scripting)이란? XSS이란 게시판같은 곳에 위와 같은 형태로 팝업 창을 띄워버리는 것입니다. 쿠키탈취 자, 그렇다면 다른 사람의 쿠키를 탈취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cookie.php 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위와 같은 코드를 쓰고 난 뒤 , 스크립트로 실행시켜줍니다. 이렇게 하면 됩니다. 매우 쉽죠? 참조 https://duni0107-day.tistory.com/69 XSS공격 피해자 쿠키값 탈취 https://duni0107-day.tistory.com/58?category=703364 XSS공격으로 쿠키값 탈취 XSS란? -> 게시판에 스크립트 코드를 삽입해 개발자가 고려하지 않은 기능이 작동되게 하는 공격 쿠키란? -> 방문자의 정보를 방문.. duni0107-..

루팅 방법

루팅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루팅을 할 수 있는 앱들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앱들이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여 루팅을 하는 것인지 알아봅니다. 일단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부트로더 언락 부드로더(boot loader - OS가 시동되지 전에 관련 작업을 세팅하는 과정)언락 - 기기 내부 메모리에 기록이 가능하로록 세팅 - 커스텀 리커버리 설치 안드로이드 폰에 리커버리(복구)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다른 것으로 교체합니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나 캐시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 루팅 이제 관리자(root)권한을 얻으면 됩니다. 커스텀 리커버리를 이용하여, 관리자 권한을 얻으면 됩니다. --- 참고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