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03

Android Log찍기, TAG달기

안드로이드의 디버깅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고 가 보겠습니다. 우리는 여러 액티비티와 어댑터(Adapter)들을 사용하다 보면, 어디에서 어떤 Activity가 호출되었고, Adpater가 호출되고, 어디에서 에러가 났는지 기록을 남겨놔야 합니다. 그럴 때 Android의 Log기능과 TAG를 사용하면 매우 쉽게 가능합니다. 일단 Log를 찍을 때 아래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로그를 찍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찍으면, Logcat에 아래와 같이 찍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각 로그분류별로 몰아서 데이터를 볼 수 있는데, 아래의 그림처럼 선택해주면 됩니다. 여기에서 MainActivity라고 매번 적어주기가 너무 귀찮을 때, TAG를 달아주면 되는데, TAG를 만드는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private..

Android(Kotlin) 2020.12.14

Android Kotlin ImageSlider(PagerAdapter)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ImageSlider 부분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손으로 옆으로 넘기면 이미지가 휙휙 넘어가는 형태의 프로그램인데, 어떻게 만드는지 하나씩 보겠습니다. 전체 프로젝트를 구조를 한번 보고, 하나씩 만들어보겠습니다. 우선적으로 activity_main.xml에서 ViewPager를 만들어줍니다. 그 다음 ViewPager안에 들어갈 이미지가 필요한 아이템 레이아웃을 viewpager_item.xml이라고 만들어줍니다. 이후 Adapter를 만들어서 연결해줍니다. 그 다음, 마지막으로 MainActivity에서 연결해주면 끝납니다. MainActivity에 binding부분을 처음보시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Android(Kotlin) 2020.12.14

Android Kotlin RecyclerView

안드로이드에서 굉장히 많이 쓰는 것들 중 하나인 RecyclerView를 만드는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프로젝트를 만들고 난 이후, activity_main.xml 로 와서 RecyclerView를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난 이후, 리사이클뷰에 들어갈 아이템을 만들어줍니다. rv_item.xml을 만듭니다. 자, 이제 item들에 넣을 데이터를 정의해줄 Model을 만드는데 저는 rv_model이라고 이름을 붙여 아래와 같이 만들어줬습니다. 자, 여기까지 하면 이제 Adapter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Adapter의 역할을 아래 그림으로 보면, model과 item에 데이터를 알맞게 넣어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됩니다. 자, 그러면 Adapter를 만들어보겠습니다. 그 다음 MainActivity로 ..

Android(Kotlin) 2020.12.14

Android Kotlin Splash

스플레시 화면이라고 앱을 키면 잠깐 로고가 나오는 화면을 한번 만들어보겠습니다. 얘를 만들려면, Activity를 하나 더 만들어줍니다. SplashActivity라고 이름을 붙여서 만들어주겠습니다. 자, 여기에서 저희가 하고 싶은 것은, 아래와 같이 스플래시 화면이 나오고 난 이후에 메인액티비티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일단, SplashActivity와 MainActivity 저 부분 xml의 코드를 살짝 치고 가겠습니다. 그 다음, AndroidManifest.xml로 이동합니다. 기존에 MainActivity안에 있던 intent-filter부분을 SplashActivity로 옮겨줍니다. 저 부분이 앱을 시작하면 어느 화면부터 나올지 정해주는 부분입니다. 여기까지 하고나면, Android splash..

Android(Kotlin) 2020.12.14

Android Kotlin Viewbinding(Databinding)

안드로이드 xml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수정, 변경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리가 늘 하듯이 1 - findViewbyId 를 이용하는 방법 2 - Android Kotlin Extension 를 이용하는 방법 대표적으로 2가지가 있지만, 1 - findViewbyId같은 경우에는 코드로 정리할 경우, 코드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2- Android Kotlin Extension 같은 경우에는, xml파일이 많아질 수록 헷갈릴 수도 있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 4.x부터 지원을 중단하였습니다. 때문에, 우리는 새로운 방법을 알아봐야 하는데, 이번에 소개드릴 방법은 DataBinding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 4.x부터 적용이 되니 참고하시면 좋..

Android(Kotlin) 2020.12.14

Android Kotlin ListView

리스트뷰 만들기 안드로이드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는 것중 하나인 ListVIew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뷰가 굉장히 많이 쓰는데, 이걸 처음부터 만들려면 많이 헷갈립니다. 때문에 어떻게 만드는지 확실하게 한번 보고 가겠습니다. 우선적으로 저기 있는 리스트뷰에 있는 아이템 [리스트1, 리스트2, 리스트3]를 보여줄 xml파일을 하나 만들어야 합니다. 저는 이름을 list_view_item.xml이라고 붙였습니다. 그리고 간단하게 xml코드를 짰습니다. 이렇게 하고 나면 한개의 아이템이 보여줄 View가 완성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아이템을 리스트뷰에 하나씩 넣어줍니다. 그 전에, 저기 있는 아이템의 데이터 모델을 하나 만들고 가줍니다. 저는 ListViewModel이라고 이름을 만들..

Android(Kotlin) 2020.12.14

Flutter(플러터)란? Flutter강의 추천

플러터(Flutter)란? Flutter(플러터)란 구글에서 만든 크로스 플랫폼입니다. 그러니깐 한가지 언어로 Android, IOS를 모두 만들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Dart라는 언어를 통해 개발합니다. 좀더 자세한 자료는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플러터(Flutter)를 배워보기 좋은 강의 The Complete 2020 Flutter Development Bootcamp with Dart The Complete 2020 Flutter Development Bootcamp with Dart Officially crea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Google Flutter team. www.udemy.com 내용 : Flutter를 이용해서, 간단한 플러터 앱을 만들어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