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335

RXJava란

Rxjava RxKotlin 이란 것을 많이 들어봤는데 이 것은 과연 무엇일까요? RX(Reactive java)에서 이름을 따온 것인데 왜 이것을 사용하는지 알아보니, 자바로 Reactive Programming 을 할 때 사용한다고 합니다. 자, Reactive Programming 이란 뭘까요 무슨 검색해보니 데이터에 흐름을 따라 함수나 수식이 업데이트 된다. 이런 말이 나오는데... 이게 무슨 말일까요?? 매우매우 간단하게 설명하면, 어떤 이벤트가 일어나서 그 이벤트에 따라 무엇인가를 변경해준다. 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뭐 변경이야 그렇다치고, 그러면 왜? 사용하는가에 대한 부분은 쓰레드 처리가 간단합니다. 쉽게 말하면, 저희가 직접 프로그래밍으로 핸들링 해주는 것 보다 RXjava 에서 더 효율적..

TextView DP SP

TextView에 속성값을 줄 때 DP 로 해도 먹고 SP로 해도 적용이 됩니다. 근데 이거 차이가 뭘까요? DP는 핸드폰 속성값에 적용을 받지 않는데, SP는 핸드폰 속성값에 적용을 받는다라는 것입니다. 어르신들 보면, 글자가 잘 안보여서 폰트를 왕창 크게 해놓는 경우들이 종종 있는데 SP로 해놓으면 그게 더 커져 보인다는 것이고 DP로 해놓으면 더 커져보이지 않고 그대로란 것입니다. 여기까지 SP와 DP의 차이였습니다.

Retrofit, JSON, GSON, OkHttp, API 란

안드로이드에서 API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하는데, 나는 흔하게 쓰는 것들을 설명하려다 보니, 정리해봤습니다. retrofit : 처음 사용했을 때 API서버 호출할 때 사용했었다. API 서버를 POST, PUT, GET, DELETE 형태로 호출한다. 그냥 API 호출하는 라이브러리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JSON : JavaScript Object Notation 인데, 그냥 데이터 덩어리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a : "a", b : "b", c : "c" } 위의 형태로 나옵니다. 여기 데이터를 뽑아서 사용하는 과정을 파싱(parsing)이라고 합니다. GSON : Java -> JSON -> Java 로 데이터를 변환해주는 겁니다. 그냥 JSON을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때..

추상클래스(abstract class)란?

추상클래스 라는 이름처럼 사용법도 추상적이다. 무슨 추상클래스가 무뭔지 검색하면, 대부분 이상한 소리밖에 없어서... 더 찾아보다 보니 명쾌한 설명이 있습니다. 왜 다 개발자들은 설명을 어렵게 할까요... 자, 일단 이런식으로 사용하는 겁니다. 일반 함수는 fun nomal(){ // 여기에 함수를 실행하는 곳 } 추상클래스는 abstract fun absfunc() 위와 같이 일단 선언은 했는데, 안에 내용이 없습니다. 자, 이렇게 일단 선언을 해 놓고 타 클래스에서 override(오버라이드(override)는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기능(method)를 재정의) 해서 사용합니다. 일단 추상클래스안에 대략적인 세팅을 해놓고, 타 클래스에서 상세 세팅을 해놓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러니깐 동물..

개발/Kotlin 2019.07.27

블로그에 글 쓰기

블로그에 글 쓰는 것을 시간 낭비라고 생각했다. 개발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왜 이렇게 시간이 많이 드는 행위를 하는 것일까? 블로그를 운영해서 얻는 수익 때문일까, 아니면 블로그를 통해 네트워킹을 하는 것일까? 에 대한 의문을 품은 적이 있는데 내가 직접 블로그를 운영해본 바로는 시간을 투여할 만한 가치가 있다. 첫번째로, 내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모르는지가 정리된다. 평소에는 모르고 그냥 대충 이런 거겠지 하면서 사용하는 것들도 블로그에 설명하면서 적다 보면,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명확하게 알게되고, 그 부분을 더 자세히 찾아보게 되어 확실하게 알게 된다. AI쪽 공부를 하면서 이런 것을 많이 느끼는데, AI를 공부하다보면, 이게 대충 이렇게 하니깐 되는구나... 라고 이해했던 것도 설명해보라면 ..

개발 2019.07.17